리눅스 사용자 추가

사용자 추가

sudo useradd {사용자이름}

대화형 사용자 추가 (추천)대화형 사용자 추가 (추천)대화형 사용자 추가 (추천)

sudo adduser {사용자이름}
sudo usermod -a -G sudo {사용자이름} # sudo 명령 수행 가능하도록 수정

사용자 제거

sudo userdel {사용자이름}

json 처리 아두이노

필요라이브러리

ArduinoJson by Benoit Blanchon

include 
String a;
DynamicJsonDocument doc(1024);
void setup() {
Serial.begin(9600);
}
void loop() {
a = Serial.readString();
a.replace("\n", "");
if (a != "") {
DeserializationError error = deserializeJson(doc, a);
JsonArray array = doc.as();
//Serial.print(a);
//a={"ID":"abc","CMD":"STATUS"}
String ID = doc["ID"];
String CMD = doc["CMD"];
Serial.println(ID);
Serial.println(CMD);
}
}

20191216_한스_나래트랜드

한국-스페인 과제 진도 점검 및 양액기 설치 논의 워크숍 회의록

일시: 2019 12 16

장소: KIST 강릉분원 실증팜 및 컨퍼런스홀

참석자: 이택성 김호연 진창호 박수현, 정대현, 김형석, 양중석, 조좌영, 나래 5인

나래가 개발중인 양액기

-믹싱탱크 유무?

-pH, EC 센서가 현재 1세트인데, 고장났을 경우 여분을 마련하여 2세트 이상으로 고려해야 함

-믹싱탱크를 쓰는 방식

-펌프용량이 적어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다. 커도 문제기는 하다. 펌프만 바꾸면 되는 것이 아니라 배관이 바뀌어야하기에, 처음부터 고려해야할 부분이다.

-ph EC센서를 신뢰성 있는 것으로 진행해야 한다.

  • 서원양행 제품을 쓰고 있다.
  • 푸른센서를 납품받아서 서원양행에서 공급받고있다.
  • 센서를 잘못 선택하면 AS를 자주 진행하고, 고생한다

기술이전한 소프트웨어에서 추가개발하는 부분?
나래: 아직 테스트중이라서 고려해보지 않았다.


김호연: 언제를 최종 납품일로 예상하는가?

  • 이재철: 테스트까지 진행한다고하면, 키스트 현장에 갖다놓고 개발하는 것으로 진행하면…

양중석: 물 주는 데에 구역을 나눌 필요가 있는가?

  • 테크노바에서 실증 공간을 얼마나 줄 지에 따라서. 다르다. (이택성)

양중석: 토경에서는 시설원예하고 다르게 물을 준다. 너무 고사양쪽으로 생각을 안해도 된다.

박수현: 저희가 제안하는 쪽으로 진행될수도 있다.

김호연: 충분한 실증공간은 있다고 답변 받음.

양중석: 작기 중인지 여부는?

김호연: 2차년도 중반쯤에 언급을 해야할 것 같다. 확인이 필요하다.

이택성: 실무적인 체크 필요

박수현: 주관에서 스페인과 연락은 누가 하시고계신가? 진행사항 공유받고 싶다.

최대표: 현재는 양액기 만드는 쪽만 신경쓰고 있다.

김호연: 나래측에서 궁금증 이 있으면 한번에 물어보면 될 것 같다. 나싸리에쓰는 양액기와는 상관없고 온실 상부에서 이송하는 센서

이택성: 현재 별 의미없는 행동을 하고 있는 나싸리에쓰일 수가 있다.

양중석: 발표자료에서, 개발목표에서 2차년도 3차년도 목표가 확정된것인가?

최현오: 네. 평가위원들이 목표가 부족하다고해서 정량적으로 변경.

목표를 느슨하게 잡아놓고, 발표할 때에 추가자료 제출하는 것이 나아 보인다.

양중석; 나중에 실증할 때에도 데이터가 있어야 가능한데, 미리한 번 데이터 확보를 고려하면 좋다.

박수현: 국제특허 2건! 주관/협동에 할당돼있나?

이택성: 특허는 우리가 해야하지 않은가

최대표: 증발산같은 건 우리가 하기 어렵지 않은가

이택성: 국제특허 건수가 정해져있지않다. 1건만 있어도 가능하다.

양중석: 환경센서에서 얘기하는 것이, 광량센서 데이터가 온다는 것인가?

박수현: 나싸리에스 역할은?

이택성: 센서 많이 만들고 통신업체 같은 역할을 하는데, 농업에 대한 경험이 잘 없는 것 같다.

최대표: 온실 내에 로봇을 달아서 돌면서 온도를 측정하겠다.

양중석: 광량센서는 이택성박사님께서 만든 것 기반인가? 나싸리에스 기반인가?

최대표님: 러시아쪽이랑 관련을 맺고는 있는데, 관수실이 따로 있다. 규모가 굉장히 크다.

양중석: 규모가 크다.

양중석: 토경이 아니라 수경은 양액을 많이 신경쓰는데, 토경의 경우는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않는다. 예를들면 알칼리수를 중화하려면 질산을 쓸 때가 있는데, 그러면 NO3가 과하게 들어가게된다. 두번째는, 점적으로 할 경우, 점적구멍이 막힐 수 있는데, 토경은 점적을 잘 활용하지 않는다.

이택성: 일단은 점적으로 추진한다. 그 이후에 농장 상황을 봐서 바꾼다.

박수현: 센서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가 어떤 주기로 수집되는 지 필요할 것 같다. 나싸리에스 시제품이 나왔는가?

이택성: 나싸리에스가 레일난방관 등 있긴 한데, 직접 개발한 것이 아니라 기계공학과에 위탁해서 만든 것 같다.

KIST 발표

김호연: 1월초에 다른 일정때문에 떼크노바에서 한국에 방문. 1월 초에 양애긱 설치 하고, 디에고를 여기로 불러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가?

이재철: 언제쯤?

김호연: 1월 초라고 했는데, 1월 중순쯤이면 가능한가?

이택성: 국제공동과제니까 같이 회의를 하면 좋은데, 다시한 번 플랜카드를 들고 사진찍으면 좋지 않을까

이재철: 투트랙을 갈 수밖에 없는 게, 저희 자체 센서랑 나싸리에스 센서 두가지 모델을 준비해야하니, 발리 마련되면 주면 좋겠다.

김호연: 요청할 것을 리스트업해서 주시면, 요청해볼 수 있다.

박수현: 스페인 가는 일정이 어느정도일 것 같으세요?

이택성: 우리만 준비되면 될 것 이 아니라 그쪽 일정도 고려해봐야한다.

이재철: 3월 넘기면 곤란할 것이다.

이택성: 마지노선을 3월로 정해야할것이다.

박수현: 어떻게 보내세요?

이재철: 배로

이택성: 몽골은 항공운송이었다.

박수현: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.

20200120

참석자: 조좌영 정대현 박수현 이택성 김호연 김형석 진창호

토양이 과습하여 절수를 하였다. 잎이 오글거리는 것은 일조량 부족문제.

김형석: 현재 너무 영양생장으로 갔다. 뿌리활착이 안 돼서 여름에는 픽픽 쓰러질 수도 있다.

김호연: 다시 정식 준비해야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. 절수, 적엽이 필요. 뿌리가 얕다는 것은 동의

조좌영: 생육조사중

.텐시오미터 긴 것의 값이 떨어지지 않음. 물빠짐이 되지 않음. 5TE센서값도 두개의 센서가 차이가 남. 5te센서 위치를 동일한곳에 2개를 박아넣는 것을 시도해보자.